- 작성시간 : 2014/01/05 16:18
- 퍼머링크 : rouxlouka.egloos.com/2450913
- 덧글수 : 22

안녕하세요?
새해 시작한지 며칠 됐다고 지름신의 부름을 받아 이런 지름을 저지르고 말았지요.

세컨드 컴 님을 샌디 브릿지 i3에서 하스웰 i3로 업그레이드! 해버렸답니다.

그래도 전에 사용하던 보드는 같은 Micro-ATX 폼팩터였지만 나름 가득 찬 맛이 있었는데, 이번에는 정말 작아져버렸네요. 왠지 횡해져버렸어요. 원래 케이스까지 바꾸는 계획은 캔슬했답니다. 너무 부담스러웠다랄까요? 다음에 기회봐서 HDD만 좀 고용량으로 정리해야겠어요.
HDD들이 RAID 1(Mirroring)구성인데, 역시 같은 Intel PCH(ICH) 계열이라 계승되네요. OS도 재설치할 필요없이 잘 계승됐고, 칩셋 변경(Z68 -> H87)에 따른 칩셋관련 일부 재설치만으로 해결봤어요. Windows 8.1의 앱 중에 일부가 바로 실행이 안 됐지만, 스토어에서 한 두 개 정도 보정해주는 수준으로 해결됐고요. 너무 깔끔한 이전에 오히려 불안(?)할 정도???
일단 HD4400으로 올라간 iGPU의 성능은 꽤 만족스러워요. 얼마전 스팀 할인기간에 무료로 받은 LEFT 4 DEAD 2 가 아주 잘 돌아가요. Diablo III 등도 전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돌릴 수 있었구요. 무엇보다도! 3D MARK 11 벤치마크를 클리어할 수 있었답니다! 간단하게 게임 돌리거나, 온라인 게임에서 멀티 계정할 때 전보다 더 좋은 환경이 될 것 같네요. (안타깝게도 현재 멀티 게임을 하는게 딱히 없다보니...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지만...)
그 이외에는 솔직히 크게 체감할만한 차이가 거의 없네요. 성능 부족보다는 전력 효율 & Haswell을 써보고 싶다는 이유가 더 컸으니까요. Windows 8.1은 체험 점수가 배제되었기 때문에 따로 테스트 해보진 않았어요. (방법이 있다고는 하지만, 그렇게까지 하고 싶지는 않구요.)
그리고, 2014년 일반인의 컴 님 상황을 정리해봤어요.M AIN System
CPU - Intel Core i7 2600 (3.4 Ghz / 8 Threads / Sandy Bridge)
Mother Board - ASUSTeK P8P67 Deluxe
Main Memory - Samsung DDR3 10600 4 GBytes x 4
Display Adapter - Leadtek GeForce GTX 660
Sound Card -
Main : Creative Labs X-Fi Titanium HD
Sub : Onboard
Storage -
Raid Controller : Adaptec ASR-2805
System & Programs : Samsumg S830 256GBytes
Work & temporary : Samsung S830 128GBytes
Data : Seagate Barracude 7200.12 500GBytes x 4 (RAID 1+0)
Optical Disk Drive - Samsung SH-B123A (Blu-ray Combo)
NIC -
1st NIC : Intel EXPI9301CT (PCI-E / GbE)
2nd/3rd NIC : Onboard Intel & RealTek (Not Used)
Power Supply - Seasonic X660 (80PLUS GOLD / 660Watts)
Input Device -
Keyboard : FILCO Majestouch 2 Ninja (Tenkeyless / Linear(RED) / PS/2)
1st Mouse : Logitech T620 Touch Mouse for Windows 8
2nd Gaming Mouse : Logitech Gaming Mouse G300
Tablet : WACOM Intuos Touch Small
Monitor -
1st Monitor : Eizo FlexScan EV2333W-FS (IPS / LED / DVI)
2nd Monitor : Eizo FlexScan EV2333W-FS (IPS / LED / DVI)
3rd Monitor : Eizo FlexScan S2111W (S-PVA / CCFL / HDMI-DVI)
Calibrator : Datacolor Spyder 4 Elite
Audio System -
Main : Inkel + Dali + Yamaha (2 Channel + Active Subwoofer)
Sub : Monitor Internal Speaker
Case - Micronics IGNITION
Operating System - Windows 8.1 Pro K
S ECOND System
CPU - Intel Core i3 4130 (3.4 Ghz / 4 Threads / Haswell)
Mother Board - ASUSTeK H87M-E
Main Memory - Samsung DDR3 10600 4 GBytes x 2
Display Adapter - Intel HD4400(iGPU)
Sound Card -
Main : Onboard
Storage -
System & Programs : Samsumg S830 128GBytes
Work & temporary : Intel X25-V 40GBytes
Torrent & Share : Fujitsu 2.5 Inch 250GBytes
Data1 : Seagate Barracude 7200.12 320GBytes x 2 (RAID 1 Mirroring)
Data2 : Seagate Barracude 7200.12 500GBytes x 2 (RAID 1 Mirroring)
Data3 : Seagate Barracude 7200.12 1TB
Optical Disk Drive - Samsung External DVD-RW(USB)
NIC - Onboard
Power Supply - Seasonic S12 II (80PLUS / 500Watts)
Input Device -
Keyboard : FILCO Majestouch (Tenkeyless / Non-Click(BROWN) / PS/2)
1st Mouse : Logitech T400 Zone Touch Mouse for Windows 8
2nd Gaming Mouse : Logitech Gaming Mouse G1
Monitor - Eizo FlexScan S2111W (S-PVA / CCFL / DVI)
Audio System -
Main : CAMAC CMK-828K(Pink / 2 Channel)
Case - Cooler Master
Operating System - Windows 8.1 Pro K
F ATHER System
CPU - Intel Pentium G3240 (3.2 Ghz / 2 Threads / Haswell)
Mother Board - ASUSTeK H87M-E
Main Memory - Samsung DDR3 10600 2 GBytes x 2
Display Adapter - Intel HD Graphics (iGPU)
Sound Card - Onboard
Storage -
System & Programs : Samsumg S840 EVO 120GBytes
Data : Toshiba 2.5 Inch 500GBytes x 2 (RAID 1 Mirroring)
Optical Disk Drive - Samsung DVD-RW
NIC - Onboard
Power Supply - Seasonic S12 II (80PLUS / 430Watts)
Input Device -
Keyboard : 106 Key Standard (PS/2)
Mouse : Logitech Marathon Mouse M705
Monitor - Samsung SyncMaster S24A350T (A-MVA / LED / DVI-HDMI)
Audio System - Creative Labs T12 (2 Channel)
Case - Micronics
Operating System - Windows 7 Professional K 32bits
M OTHER System
CPU - Intel Core i3 2100 (3.1 Ghz / 4 Threads / Sandy Bridge)
Mother Board - ASUSTeK P8Z68M Pro
Main Memory - Samsung DDR3 10600 4 GBytes x 2
Display Adapter - Intel HD2000(iGPU)
Sound Card - Onboard
Storage -
System & Programs : Samsung S830 64GBytes
Data : HDD 4~5EA with RAID 0 Striping
Optical Disk Drive - Samsung DVD-Combo
NIC - Onboard
Power Supply - Seasonic SS400ET (80PLUS BRONZE / 400Watts)
Input Device -
Keyboard : 106 Key Standard (PS/2)
1st Mouse : Logitech Marathon Mouse M705
2nd Gaming Mouse : Logitech Gaming Mouse G100
Monitor - Samsung SyncMaster 216T (S-PVA / CCFL / DVI)
Audio System - Audio
Case - Micronics
Operating System - Windows 8.1 K
자 과연 올해는 어찌 바뀔런지? HDD 쪽은 좀 증설 혹은 용량 확대를 하고 싶은데, 그 이외에는 크게 바뀌지 않을 것도 같고요. 마우스 쪽으로는 써보고 싶은 아이들이 몇 있다보니 그 쪽으로는 변경이 생길 수도 있겠네요. 당장, Logitech Wireless Gaming Mouse G602 라는 아이의 거취(?)문제부터 고민이랄까요? 확 팔아버릴까 싶기도 한데...
스펙을 한 번 정리해본...
루였어요~♤
덧글
좀 나와주면 어떨까 싶지만... 나올리가 없겠죠(....)
저 같은 경우도 원래 별도의 RAID Contrller를 선호하는데, (메인의 경우는 8Channel 장착 중) 세컨드는 부팅 시간이나 기타 등등의 이유로 그냥 온보드로 전환한거지만... 역시 전용 메모리 등을 보유한 제대로 된 Controller로 돌아갈까 싶기도 해요.
8채널 레이드 카드쯤 되면 가격이...(먼 산)
역시 일반인의 범주에서 보기에 루루카님 메인 컴만은 일반인용 컴퓨터가 아닌것 같습니다;;
Sandy Bridge랑 Haswell이 동일 클럭 연산력 차이가 적지 않거든요.
(메인 컴 님 클럭 자존심 세워주느라 세컨드 컴 님 CPU를 더 상위로 하지 않았다라는 소문이...)
일단 3년이나 묵은 "골/동/품"인걸요? (후다다닥...)
일단 도망쳐야겠네여
면면히 살펴보시면 매~~~우 소박하고 일반적인 사양이라는걸 이해하실 수 있을꺼에요.
그러고 보니까 무선 마우스 불편하기도 했고 좋았을때도 있었네요.
귀찮을때 멀리서 무선으로 조종하면 편한대신 마우스 크기가 너무 작아서 결국 유선 마우스로 바꿔버렸습니다..;;
ps. 친척형네 집에는 바(bar)형 무선 마우스 있는거 본....
유선도 작은 아이 큰 아이 있듯이...
유/무선의 문제라기보다는 너무 작은 크기(주로 휴대성을 강조한) 무선 마우스를 사용하셨나보네요.
전 작은 마우스를 선호해서 제 포스팅에 올라오는 마우스는 작은 아이들이 많지만,
며칠전 올려놓은 G602도 꽤 큰 편이고 G700, M950 이런 애들은 그 크기가 상당히 크답니다.
(특히, G602, G700 이런 애들은 유/무선 겸용이기도 하고요.
필요에 따라 선 꽂고 쓰거나 빼고 쓰거나...)
그 이외에 좀 특이하게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한 프리젠테이션용 무선 마우스나
자이로 센서를 내장한 특수한 형태, 큐브 형 등등도 있고요.
참, 그리고 일반인 블로그에요~ 잇힝~
저도 빨리 업그레이드를 하고 싶어지는군요 (...)
저도 업그레이드 하고 싶어요. 엉엉... (메인 시스템)
저도 어여 빨리 일반인이 되고 싶네요..ㅠㅠ
아~주 나쁜 케이스가 아니라면, Sandy Bridge ~ Ivy Bridge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세요.
특히 7X 시리즈 칩셋이면 당연히 된다고 보셔야 하고요.
즉, i7 2600, 2600K, 2700K, i7 3770, i7 3770K 등의 i7 이 다 들어가죠.
단, 주의하실 점은 첫 자리 수가 4로 시작하는 i3, i5, i7은 사용 불가랍니다.
i3, i5, i7 4XXX 형태는 Haswell 이라서요~
케이스는 타이푼 쓰고 있어요.
아이비하고 샌디하고 그리 큰 차이 안나니까 샌디 가는게 어떠냐는 권유를 받고 있습니다.
올해 목표는 1차로 램, 2차로 CPU랍니다.
CPU 바꾸고 메인보드 하나 더 사서 3번째 컴 만들어서 3컴으로 돌리려고요 T_T
세컨 컴으로 캔츠필드 영감님을 혹사시키고 있다지요...T_T
(오버 클럭을 하신다면, 일단 메인 보드가 부족한 성능이고,
내부 열 전도 방식이 솔더링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바뀜으로써 발열에 문제가 있어서
Sandy Bridge를 하거나 Ivy Bridge/Haswell 계열은 뚜껑을 따는 경우가 있거든요.)
AVX2 등의 추가 명령셋도 그렇고 일단 공정이 32nm -> 22nm 에요.
정확한 이유가 있다면 모르겠지만,
별 차이 안 나니 더 구형을 권하는 것은 좀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네요. ^_^`...
[모든 것은 예산이 지배한다!]
으허허헝 T_T
하지만, 기/왕/사/는/거 큰 차이 아니면... 조금이라도 나은거 사시는게?
아마... 시스템 보드 부터 완전 교체하지 않는한...
"그래도 Ivy Bridge로 할껄 그랬나?" 혹은...
"Ivy Bridge로 올려볼가?" 하는...
작은 망설임이 따라다닐것 같은데요? (후후훗...)
여담이지만, 제가 B 계열의 칩셋은 써본적이 없어서 확신은 좀 어렵지만,
(그래도 Q 계열은 아니니...)
Sandy Bridge와 Ivy Bridge 들의 Non-K 모델들도
Turbo Boost를 활용한 대략 500Mhz~ 이상의 클럭 오버가 가능한데,
(Haswell은 이 보너스가 사라진걸로 알고요.)
이 배수 방식이 Sandy Bridge와 Ivy Bridge가 달라요.
Ivy Bridge 쪽이 최저 클럭에서 대략 100~200Mhz 이상 더 올라간답니다.